캐나다 스토리

오늘의 영어 표현은 'come in handy'입니다. handy의 사전적 의미는 '쓸모 있는, 유용한'(useful)인데, 이 단어가 come in과 만나 '쓸모 있다', '유용하다'는 표현이 됩니다. come in handy는 주로 특정 상황에서(expecially in a certain situation)에서 사용됩니다. 이를테면 북미의 10대 아이들이 즐겨 읽는 'Diary of a wimpy kid'(윔피 키드)에서 중학생인 주인공은 일기(journal)를 쓰는데 동의한 유일한 이유(The only reason I agreed to ~)에 대해 훗날 자신이 유명해지고 부자가 됐을 때 성공 비결 등을 믿는 기자들의 한심한 질문에 하루종일 답변하느니(answer people's stupid ques..
집값 상승세가 지나치다 싶을 때면 거의 어김 없이 '세금 인상안'이 제시되곤 합니다. 다시 말해 집값이 오르면 세금도 오를 수밖에 없다,는 거죠. 그런데 과연 세금으로 집값을 잡을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해선 마냥 긍정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세금이 올라도, 아니 세금 인상이 결과적으로 집값 상승, 주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진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울도 마찬가지겠지만, 우선 밴쿠버의 예를 찾아 보겠습니다. 지난 2016년 8월 밴쿠버에서는 외국인에 한해 주택 구매시 취득세를 15% 추가로 부과하는 방안이 도입됐습니다. 밴쿠버 지역의 집값 급등이 외국인 투자자, 혹은 외국 투기 자본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였죠. 이와 함께 주택담보대출 요건도 한층 강화됐습니다. 자, 이후 시장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베이비붐 세대의 선두 그룹이 65세에 접어들면서 전체 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국내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은 사상 최고치인 20%로 조사됐습다. 반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전체 인구와 14세 이하 아동 인구 증가율은 각각 5%와 4.1%를 기록했습니다. 이 결과 2016년을 기점으로 캐나다 인구 지도에 큰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노인 인구가 아동 인구에 비해 많아진 것입니다. 이는 사상 처음 있는 일로, 2016년 노인 인구와 아동 인구는 각각 약 590만명과 580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6.9%로, 아동 인구 비율에 비해 0.3%P 높았습니다. 노인 인구의 증가 속도는 2011..
2017년 11월 캐나다 근로자의 평균 주급이 전년 같은 달 대비 2.8% 늘어난 988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동월 주 평균 근로 시간은 32.8시간으로, 이를 단순 적용하면 시간당 평균 임금은 30달러가 조금 넘습니다. 급여 수준은 업종별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석유나 광산 업계 근로자에 대한 대우가 가장 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주당 평균 임금은 2010달러로, 이 또한 연봉으로 환산하면 10만달러에 육박합니다. 이밖에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넘는 분야는 설비업(Utilities 주급 1970달러), 기업 경영 및 관리(1688달러), 금융 및 보험(1350달러), 건설업(1243달러) 등이라고 통계청은 전했습니다. 반면 소매업(575달러), 숙박 및 요식업(392달..
서지현 검사의 용기 있는 고백과 이후 또다시 화제가 된 최영미 시인의 풍자시 은 친근함이라는 껍데기를 쓴 성범죄가 한국사회에 얼마나 만연해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이 두 사람의 고발은 이른바 #MeToo(미투) 운동이 재점화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요. 캐나다 사회에서도 미투에 힘을 싣는 목소리는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다시 말해 성희롱, 성폭행을 포함한 성범죄가 캐나다에서도 결코 낯설지 않다는 얘기겠지요. 이는 수치를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사이트웨스트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캐나다 여성 직장인 중 50%가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성희롱 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직장 여성 둘 가운데 한 명이 성희롱에 노출됐다는 얘긴데, 이들 중 적극적으로 대처한 비율, 그러니까 자신의 상사..
캐나다는 대표적 양성 평등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난 2015년 새로 집권한 저스틴 트뤼도 정부가 내각의 남녀 장관 비율을 동일하게 적용한 바 있는데, 이는 캐나다의 양성 평등 노력을 보여주는 하나의 상징이 되기도 했지요. 당시 남녀 동수 내각을 구성한 이유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이후 줄곧 회자되는 답변을 남깁니다. “2015년이니까요…” 하지만 정치계가 아닌 직장 사회에서는 “2015년이니까요”라는 선언(?)이 온전히 통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2016년이, 2017년이, 또 한해가 지나 2018년이 되어도 급여 면에서 남녀 차이는 여전하다는 지적입니다. 여론조사 기관 인사이트웨스트가 시사 전문지 맥클린스의 의뢰로 실시한 최근 설문에서 캐나다 직장인 중 62%는 “업무 내..
캐나다 세관 규정을 살펴보면, 입출국 시 현금이나 채권 등 1만 달러 이상을 소지할 경우 이를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 현금 1만 달러 이상은 캐나다내로 갖고 갈 수도, 혹은 밖으로 갖고 나갈 수도 없다는 ‘오해’도 간혹 접할 수 있지요. 실제 불법 자금이 아니라면 1만달러든, 혹은 100만달러든 현금 반출입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다만 보유 현금이 1만달러 이상인 경우에는 신고 의무가 주어진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돈의 성격에 따라 신고 의무 또한 달라진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내 돈이 아닌 경우에도 혹은 캐나다에 순전히 관광 온 경우에도 입출국 시 보유 현금이 1만달러 이상이라면 신고 대상이 됩니다. 자, 그렇다면 이 딱딱한 규정을 어길 경우 어떤 일이 ..
밴쿠버 바다는 다소 밋밋한 면이 있다. 바다 냄새는 서툰 바리스타가 만든 아메리카노처럼 연할 때가 많고, 바람도 콧등을 살짝 간지럽히고 스치는 수준이다. 거의 예외 없이, 파도는 잔잔하다. 혹자에 따르면 밴쿠버아일랜드가 거대한 방파제처럼 밴쿠버 앞바다를 끌어안고 있는 탓이다. 이처럼 호수를 닮은 바다도 나쁘지 않다. 바닷가는 훌륭한 산책로가 되어 주고, 그 길 위의 벤치에 앉아 커피 한 잔 즐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더 우렁찬 바다의 소리를 귀 기울이고 싶다면, 떠나야 한다. 밴쿠버아일랜드의 반짝이는 보석 토피노로. 나나이모, 달콤한 도시 웨스트밴쿠버 호슈베이 선착장에서 훼리를 타고 나나이모에 내린다. 밴쿠버아일랜드에서 두 번째로 크다는 이 도시, 나나이모가 토피노 여행자들이 거쳐야 할 첫 번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