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스토리
뇌졸중으로 쓰러지고 다시 일어난 어느 남자의 이야기- 중풍 회복 스토리 본문
이관호씨(53)의 인생에서 쉼표란 없었다. 사소한 곁눈질 한 번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그였다. 믿음직한 아들, 남편, 그리고 아버지로 그는 순항했다. 탄탄대로를 달리던 그를 막아선 것은 다름아닌 병마였다. 지난 해 8월 이관호씨는 풍으로 쓰러졌다. 머릿속에서 화산 하나가 폭발하는 것 같더니, 이내 온몸의 기운이 빠져나가는 것 같았다. 정신을 차린 것은 일주일 후였다. 긴 쉼표의 시작이었다.
“눈을 떴을 때 모든 것은 달라져 있었어요. 자신의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다는 사실은 좀처럼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이었지요. 책을 집어드는 것도, 좋아하는 음악을 듣기 위해 라디오를 켜는 것도 혼자 힘으로는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단단한 사람이었다. 그의 이력에서 포기나 절망 같은 단어는 쉽게 찾아볼 수 없다. 고교시절 그는 교환학생 자격으로 미국 유학을 떠났다. ‘있는 집 자식’이어서가 아니다. 이관호씨는 가난한 고학생이었다. 메릴랜드 대학과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후 그는 한국으로 눈을 돌렸고, 사업가로서 달콤한 성공을 맛보았다.
“윤전기 관련 사업체를 20년 정도 운영했는데, 신문사를 상대로 수백억원대 계약도 여러 차례 성사시켰어요.”
2003년 그는 남부럽지 않은 사업체를 접었다. 한국사회는 기회도 많지만 그만큼 스트레스도 팽배해 있다는 게 캐나다 이민을 결심한 이유 중 하나다.
“부모님 두 분 모두 풍으로 고생을 많이 하셨어요. 그래서 그런지 풍에 대한 두려움 같은 걸 저도 은연 중에 갖고 있었던 것 같아요. 스트레스를 피하고 싶다는 마음에 캐나다 이민을 굳히게 된 거죠.”
이민 와서는 부동산중개사로 새 삶을 시작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정도로 그는 열심히 일했다. 하지만 유전의 벽은 생각보다 두터웠다. 풍으로 쓰러지고 병상에서 처음 눈을 떴을 때, 이관호씨는 제일 먼저 아내를 떠올렸다.
“평소에 잘 해주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게 후회스럽기도 하고 너무 미안하기도 했지요. 50을 훌쩍 넘긴 어른을 단숨에 두세 살 어린애로 만드는 게 바로 풍이란 병이에요.”
갑자기 어린아이가 된 남편의 곁을 아내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지켰다. 그 마음은 절망감에 빠져 있는 그를 천천히 일으켜 세웠다. 아내의 도움으로 병상에 묶여 있던 그는 조금씩 세상 밖으로 나왔다. 다시 바라본 세상은 전과는 다른 것이었다.
“행복을 생각하는 기준이 달라진 것 같아요. 지금 제게는 통증 없이 잠을 푹 잘 수 있는 것도 행복이고, 찬송가를 부를 수 있다는 것도 행복한 일이에요. 사소한 일에도 감사하게 됐어요.병상에 묶여 있었을 때는, 그리고 건강했을 때는 생각도 못했던 일들이죠.”
3개월 동안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도 그는 새로운 변화를 체감했다.
“병원에 있을 때 교통사고로 두 다리를 잃은 사람을 만났어요. 그가 저를 위로해 주더군요. 저까지 생각해 주는 그를 납득하기 어려웠죠. 자신의 상황도 절망스러웠을텐데 말이죠.”
이관호씨는 그에게 물었다. 두 다리를 잃었는데도 어떻게 행복해 하고, 남을 위로할 수 있는지를.
“자기도 죽고 싶을 만큼 괴로웠대요. 하지만 나뭇가지가 꺽인 자리에 새 싹이 나고 꽃이 피는 걸 보면서 차츰 마음을 추스릴 수 있게 됐다고 하더군요. 자신도 의족을 차고 걸을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행복해졌대요.”
한쪽 몸을 온전히 가눌 수 없게 된 이관호씨도 꿈을 꾸기 시작했다. 우선 휠체어를 타서라도 세상 밖으로 나가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아내의 꿈은 조금 달랐다.
“휠체어가 아니라 지팡이를 짚고 걸어보라고 하더군요. 아내가 저보다 욕심이 더 많은 것 같아요.”
아내의 소원대로 그는 지팡이에 의지한 채 퇴원했다. 그리고 1년여가 지난 지금, 아직도 몸은 온전히 돌아오지 않았지만 지팡이의 도움 없이 걸을 수 있게 됐다. 이것 역시 아내 덕분이다.
“병원에 있었을 때 저는 콘도로 이사가길 원했어요.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니까 여러모로 편리할 것 같았지요.”
하지만 아내의 선택은 하우스였다. 편한 것에 익숙해지다보면 회복도 더딜 것이라는 게 아내의 생각이었다. 집안 계단을 오르내릴 때마다, 처음에는 그런 그녀가 야속하게 느껴졌다.
“처음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무섭기까지 했는데 차츰 익숙해지더군요.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윗몸일으키기도 시작했어요. 앉았다 일어서기도 반복해서 하고 있지요.”
아내는 음식에도 크게 신경썼다. 될 수 있으면 싱겁게 먹고 물,야채,과일도 많이 섭취했다. 몸속에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내가 내 몸의 주인인데 아프기 전에는 그것을 깨닫지 못했죠. 지금은 내 몸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 것 같습니다. 통증이 심해지더라도 진통제에만 의존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진짜 약은 음식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올 1월부터 이관호씨는 부동산 일을 다시 시작했다. 아내가 수행비서처럼 그의 곁을 지킨다. 서서히 예전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는 그가 잊고 싶지 않은 것이 하나 있다.
“병을 통해 평소에는 당연한 일 혹은 사소하게 여겼던 것에 대해서도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됐어요. 제가 아까 말씀드렸잖아요. 아무런 통증 없이 푹 잘 수 있다는 것도 큰 행복이라고.”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쿠버의 대표 연극 극단 '하누리'를 소개합니다 (0) | 2017.07.07 |
---|---|
밴쿠버 범죄 피해 예방부터 부당 노동 신고, 폭력 피해 신고 방법까지 (0) | 2017.07.07 |
북한 신의주, 브라질, 그리고 밴쿠버....75년을 함께 산 어느 부부 이야기 (0) | 2017.07.07 |
LPGA 리디아 고, 생애 첫 우승 최초 인터뷰 (0) | 2017.07.07 |
영화 피로 김동명 감독과 배우 정아영과의 만남 (0) | 2017.07.07 |